2024 맞춤법 검사기 사이트 바로가기, 추천/비교

뉴스나 기사를 읽을 때 맞춤법이 틀리면 글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느낌을 받을 정도로 맞춤법은 우리에게 중요한 요소입니다.

작성자의 이미지와 신뢰성에 영향을 줄 만큼 중요한 요소이기에 이력서, 자기소개서 작성 또는 블로그 포스팅 등 다양한 문서를 작성할 때 많은 사람들이 맞춤법 검사기 사이트를 찾습니다.

오늘은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맞춤법 검사기 사이트 3가지를 소개하고 각자의 장단점을 리뷰해보겠습니다.

(바로가기 버튼을 통해 해당 사이트로 바로 이동 가능합니다)

 

1. 국립 국어원 맞춤법 검사기 사이트

1) 사용 방법

 




(1) 위의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면 국립 국어원 맞춤법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2) 검사하고 싶은 글을 복사해 내용에 붙여 넣고 “강한 규칙 적용하기”를 체크 후 검사를 진행합니다.

(3) 왼쪽에서 교정 대상 문서, 오른쪽에서 교정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맞춤법 검사기 - 국립국어원 사이트 (1)

<맞춤법 검사 전>

맞춤법 검사기 - 국립국어원 사이트 (2)

<맞춤법 검사 후>

2) 장점 및 단점

장점

(1) 교정 가능한 글자수의 제한이 없어 글자수가 많은 경우 사용하기에 좋습니다.

(2) “강한 규칙을 적용” 기능이 있어 원문의 정교한 교정이 가능합니다.

(3) 정확도가 우수하고 해설(도움말)의 내용이 다른 사이트에 비해 우수합니다.

(4) 원하는 부분만 선택 후 직접 교정이 가능합니다.

 

단점

(1) 글자수가 많거나 서버가 불안정할 경우 속도가 많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직접 작성해본 결과 1,000자 이상 넘어갈 경우 속도 저하가 크게 느껴집니다. 대학생들의 과제가 넘치는 시즌에는 속도 저하를 우려해 다른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 화면의 구성이 작게 생성되어 있어 긴 글의 경우 내용을 한눈에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2. 다음 맞춤법 검사기 사이트

1) 사용 방법

 



(1) 위의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면 국립 국어원 맞춤법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2) 검사하고 싶은 글을 복사해 내용에 붙여 넣고 “검사하기” 버튼을 클릭해 진행합니다.

(3) 아래 화면과 같이 원문의 내용에서 교정 내용을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

(4) 교정 내용을 클릭하면 해설(도움말)을 볼 수 있습니다.

맞춤법 검사기 - 다음 사이트 (1)

<맞춤법 검사 전>

맞춤법 검사기 - 다음 사이트 (2)

<맞춤법 검사 후>

 

2) 장점 및 단점

장점

(1) 유명한 다음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만큼 이용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2) 맞춤법 검사 후 “교정문 복사” 버튼을 이용해 전부 교정이 된 글 전체를 복사 할 수 있습니다.

(3) 화면과 같이 원문에 직접 교정된 부분이 표시되어 한눈에 파악하기가 쉽습니다.

 

단점

(1) 한 번에 교정 가능한 글자수가 최대 1,000자로 제한되어 있어 다량의 문서 파악해야 하는 경우에는 이용하기 어렵습니다.

(2) 원하는 부분만 수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 상대적으로 다른 온라인 맞춤법 검사 사이트에 비해 정교함이 떨어진다. (아래 사이트 비교 항목 참고 바랍니다.)

(4) 교정 부분을 직접 클릭해야 해설(도움말)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 다소 불편한 감이 있습니다.

 

 

3. 사람인 맞춤법 검사기 사이트

1) 사용 방법

 



(1) 위의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면 국립 국어원 맞춤법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2) 검사하고 싶은 글을 복사해 내용에 붙여 넣고 “검사 시작” 버튼을 클릭해 진행합니다.

(3) 왼쪽 화면에서는 교정해야 할 문구들이 붉은 색으로 표시되고, 오른쪽 화면에서는 대체어가 표시됩니다.

(4) 왼쪽 화면에서 자세히 보고 싶은 문구를 선택하면 해설(도움말)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맞춤법 검사기 - 사람인 사이트 (1)

<맞춤법 검사 전>

맞춤법 검사기 - 사람인 사이트 (2)

<맞춤법 검사 후>

2) 장점 및 단점

장점

(1) 공백을 포함해 최대 4,000자까지 한번에 교정이 가능해 대량의 문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원문을 붙여 넣을 경우 공백 포함 및 공백 제외 글자 수를 파악할 수 있어 제한 수 맞출 때 용이합니다. (자기소개서 및 지원서 작성 시 글자 수 파악과 맞춤법 모두 확인이 가능합니다.)

(3) 맞춤법 오류가 얼마나 났는지 개수를 표시해주어 한눈에 파악하기 쉽습니다.

(4) 대체어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원하는 문구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5) 맞춤법 수정을 할 경우 파란색, 오류의 경우는 붉은 색으로 표시되어 어느 부분이 틀렸는지 파악하기 쉽습니다.

(6) 우측 상단 부분에 “일괄 수정” 버튼이 있어 한 번에 수정이 가능합니다.

 

단점

(1) 국립 국어원 사이트에 비해 해설(도움말)의 내용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3가지 사이트 비교하기

* 김유정 작가의 소설 “동백꽃” 내용을 발췌하여 직접 사용해 보았습니다. (약 1,000자 정도로 테스트 실행)

1) 정확도

국립 국어원 사이트는 약 25개, 사람인 사이트는 약 23개 그리고 다음 사이트에서는 12개로 교정 개수를 보여 국립 국어원 사이트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습니다.

 

2) 속도

사람인과 다음 사이트의 경우 거의 비슷한 속도를 보였고, 국립 국어원의 경우 약 1분간 버퍼링이 지속되며 확연히 느렸습니다.

 

3) 최종 평가

작성자 본인의 경우 글을 작성할 때 4,000자를 넘기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면서 정확하고 한눈에 파악이 용이한 “사람인 맞춤법 검사 사이트”를 추천합니다.

하지만 짧은 글(1,000자) 또는 비교적 간단한 문서의 교정을 원하는 분들은 “다음 사이트”를 추천드리고, 상대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있으신 분들 그리고 정확한 해설 및 교정을 원하는 분들께는 “국립 국어원 사이트”를 추천합니다.

 



 

지금까지 맞춤법 검사 사이트 3가지를 살펴보았습니다. 최종 평가에서 말씀 드린 것처럼 작성 글 및 문서의 용도와 각자의 상황에 맞게 원하는 사이트를 방문해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이 글이 방문자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오늘의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4 한컴 타자연습 (신버전/구버전)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나요?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3.7 / 5. 투표 수 : 3

아직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